fnctId=prof,fnctNo=157 한경호(Kyeong-ho Han) 직위(직급) 교수 연구실 수산해양관 706호 교수전공 및 연구분야 어류학(형태, 발생 및 분류), 해양 생태 및 자원학, 자원생물학(해양생물학) 연락처 061-659-7163 이메일 aqua05@jnu.ac.kr 홈페이지 - 최종학력 - 부경대학교(구, 부산수산대학교) 자원생물학과 (이학사) - 부경대학교 대학원 자원생물학과 (이학석사) - 부경대학교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이학박사) 연구분야 - 어류학 (형태, 발생 및 분류) - 해양 생태 및 자원학 - 자원생물학 (해양생물학) 대표 강의 교과목 - 수산생물학 및 실험 (Fresh-water Biology and lab.) - 해양생태학 및 실험 (Marine Ecology and Lab.) - 어류학 및 실험 (Ichthyology and experiment) - 수산학개론 및 법규(캡스톤디자인) (Principles of Fisheries and law(Capstone design)) - 수산자원학 및 실험 - 담수 생물학 및 실험 - 치어 생물학 - 어류 해부학 특론 - 어류 계통분류학 저서 / 학위 및 특허 -저서 및 역서 1. 한국 해산어류 도감. 도서출판 한글, 2001년 382pp. 2. 국내에 도입된 외래어류의 현황. 한국어류학회, 구룡문화사, 2003년 128pp. 3. 한국 연안 어류의 현황과 보전. 2003 한국어류학회 심포지움. 160pp. 4. 한국 연근해 유용어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2004 국립수산과학원. 333pp. 5. 한국 해산어류 도감 제 2판. 도서출판 한글, 2005년 397pp. 6. 가막만 자연환경과 산업. 도서출판 구덕, 2006년 247pp. 7. 해양생물학 6판 생태학적 접근. 라이프사이언스, 2008년 1월 472pp. 8. 고등학교 “어류양식”. 서울교과서, 2015년 1월 295pp. 9. 상세한 복어류 검색도감 (대표 저자). 2017년 5월 150pp. 10. 고등학교 “수산양식 일반”(최상덕, 김사조, 박광재, 박찬선, 한경호) : 전라남도교육청, 2018년 3월 1일, 351pp. 11. 섬과 어촌(한 경호 공저).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2년 4월, 230pp. -학위논문 박사학위 논문 : “참복科(복어目) 어류의 형태, 골격 및 계통분류학적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큰가시고기, Gasterosteus aculeatus aculeatus의 산란행동, 난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 - 부경대학교 -특허등록 1. 2007. 9. 21 등록 : 특허 제 10-0762820호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2. 2010. 4. 20 등록 : 특허 제 10-0955104호 “유자를 이용한 민물장어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민물장어 양식 방법” 외 13건 교내/외 대표보직 활동 1. 전라남도, 여수시, 영광군 수산조정위원회 위원; 순천시의회 자문위원회 부위원장 등 역임 2.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겸임 수산연구관 2000~2004 3. 전남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2005~2010 4. 한국학술진흥재단“학술연구심사평가위원회”위원 2004~2005 5. 대통령 자문 국가균형발전 위원회 위원 2006~2007 6.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부학장 겸 수산해양대학원 부원장 2006~2008 7.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학장 겸 수산해양대학원 원장 2010~2012 8. 전남대학교 부총장 2013~2015 9. 선취업후진학형계약학과 (수산해양산업관광레저융합학과) 사업단 단장 (현) 10. 전라남도 정책자문위원, 고흥군 정책자문위원; 여수시 시정평가위원회 위원 (현) 11. 수산업협동조합 중앙회 교육위원 및 자문위원 (현) 12. 한국어류학회 수석 부회장 (현) 연구 업적 (연구보고서) 1. 수입 수산물 유사어종(복어) 과학적 판별법 개발. 식품의약안전처, 2016. 12 (책임) 2. 멸종 위기에 처한 한국특산어류의 종보존과 복원 및 증식기술개발. 환경부, 2006. 3 (세부책임) 3. 가마미 현안 대책을 위한 실태조사 보고. 한빛원전, 2007. 2 (책임) 4. HVDC 해저케이블 최적 위탁운영 방안 및 대가산정에 대한 연구. 한국전력, 2017. 2 (책임) 5.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개발사업에 따른 어업피해영향조사. 한국해상풍력, 2015. 11 (책임) 6. 울산 BUOY 이설공사 및 BUOY 철거공사에 따른 어업피해조사. 울산지방해양항만청 등, 2017. 4 (책임) 7. 2018년 근해어선 감척사업 어업손실액 산출조사 용역. 경상북도 환동해지역본부, 2019. 3 (책임) 8. 전북 혁신도시 원천 정비공사(2지구)에 따른 내수면(관상어 양식장) 어업피해조사. 태평양감정법인, 2019. 4 (책임) 9. 전라남도 여수시 삼일동 수산자원(새조개) 관리수면 지정을 위한 유용수산자원 서식 실태조사. 삼일동어촌계, 2018. 10.(책임) 10. 꺽지 종묘생산 및 양식 기술개발 연구. 농림부 외 365편 연구업적 (연구 논문) 1. 한국 근해 병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2(5) 2. 볼락 (Sebastes inermis) 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6(5) 3. 황해 중부에서 저층 트롤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해양바이오학회, 12(1) 4. 여수 낭도연안에서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32(2) 5. Early Life History of Lufua costata (Cypriniformes: Balitoridae) from Korea. Dev. Reprod. Vol 24, No. 4 6. 사할린가자미 (Limanda sakhalinensis) 자치어의 골격발달. 한국수산과학회지, 52(4) 7. 광양만 연안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조성과 양적변동.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5(3) 8. 호르몬 처리에 의한 붉바리 (Epinephelus akaara)의 배란 유도. 한국생명과학회지, 4(2) 9. 한국산 참마자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한국수산과학회지, 53(2) 10. 국내에 수입되는 어류의 코드 부여를 위한 목록 재정립. 한국수산과학회지, 55(3) 외 340편 석, 박사 배출 및 졸업생 현황 석사학위 : 윤 연미 (1998년 이학석사 취득, 전라남도 해양수산서기관 ) 외 101명 배출 박사학위 : 조 재권 (2000년 이학박사 취득,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갯벌연구센터장) 외 37명 배출 졸업생 현황 : 전라남도 - - 박준택 박사 (부이사관: 3급, 해양수산과학원 원장) 외 11명, 신안군 - - 신상수 석사 (신안 수산연구소 소장) 외 2명 해양수산부 - - 오성현 박사 (서기관: 4급) 외 3명, 국립수산과학원 -- 조재권박사, 변순규 박사 (동해수산연구소 해양수산연구관) 외 11명 경기도 -- 한태준 석사 (사무관) 외 3명, 경상북도 -- 문성준 석사 (서기관, 수산자원연구원 원장) 외 4명 경상남도 -- 진동수 박사수료 (사무관, 내수면연구소 소장) 외 1명,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주 현 박사 (부산 근무) 외 3명 충청남도 -- 김영건 (수산직 9급), 제주도 -- 박애전 박사 (수산연구소 해양수산연구사), 수산업협동조합 -- 오성재 석사 (굴수협 대리) 외 1명 대학 근무 -- 이성훈 박사, 신임수 박사 (전남대 산학협력중점교수) 외 4명, 해양소년단 -- 권진구 박사, 교육공무원 -- 이기석 석사 (중학교 교장) 외 4명 감정평가원 근무 -- 김기택 박사수료 (하나감정평가법인 이사) 외 3명, 양어사료회사-- 김 준 석사 외 1명 개인 사업 -- 김관석 박사 (양식장 운영) 외 20명, 어업 -- 남관우 석사 (임자도 어촌계장, 김양식) 외 3명 * 전라남도 해양수산연구사 우진주, 어촌지도사 송희택 합격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